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자가 40만 명을 넘어서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우리보다 먼저, 더 많은 물량을 확보했다고 큰소리쳤던 일본은 백신 접종에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일본은 인구의 세 배 정도 되는 3억3천만 명분의 백신을 선구매했다고 밝혔지만, 어제 기준 1차 접종을 마친 사람은 10만여 명으로 우리나라의 4분의 1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'느림보 접종'의 원인으로 일본 정부의 복잡한 백신 승인 절차와 함께 특수 주사기 부족이 꼽히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화이자 백신 1병당 접종 가능 횟수는 특수 주사기를 사용할 경우 6차례죠. <br /> <br />하지만 특수 주사기를 확보하지 못한 일본 정부는 백신 1병당 5차례 접종을 권고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일본에서 백신 접종을 늘리기 위해 인슐린용 주사기 사용 방안이 제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언론들은 일본 교토부 우지시 소재 병원이 당뇨 환자에게 사용되는 인슐린용 주사기를 쓰면 화이자 백신 1병으로 7차례 접종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슐린용 주사기, 보통 피하지방층에 맞는 피하주사에 사용됩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해 엉덩이나 어깨에 맞는 근육주사에 사용되는 제품과 비교하면 바늘 길이가 절반 정도인데요. <br /> <br />이런 차이점이 있지만 병원 측은 일본인의 경우 서양인보다 피하지방이 얇아 인슐린용 주사기로 근육주사가 가능하다며 직원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백신 접종을 책임지고 있는 고노 다로 행정개혁상도 "이런 창의적인 연구를 계속해달라"고 격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접종 대상자의 피하지방 두께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고, 당뇨 환자가 사용할 주사기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누리꾼들, 일본인은 일본어 발음 덕분에 코로나19 감염도 안 된다더니 피하지방 두께도 얇아 특수 주사기 없이도 백신을 맞을 수 있는 것이냐고 꼬집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지난해 일본의 방송사가 일본이 미국보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적은 이유에 대해 침이 덜 튀는 일본어 발음 덕분이라고 분석해 논란이 일었죠. <br /> <br />인슐린용 주사기 사용 방안에 대해서도 일본 내에서조차 '외국인에 대한 차별이다', '세계적인 조롱거리다', '자국민으로서 부끄럽다'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로이터는 "지금의 속도로는 일본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31020153066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